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

패션디자인개념 - 패션 디자인의 분류편 패션 디자인의 분류편 패션 디자인은 3차원적 제품 디자인의 한 종류로 제품 그 자체보다 착용자가 신체적으로 쾌적하고, 심리적으로 만족스러우며, 착용자의 역할과 개성에 부합하며 동시에 미적으로도 최대 만족을 줄 수 있는 제품 설계를 말한다. 패션 디자인은 크게 생산 방식에 따라 맞춤복(order-made)과 기성복(ready-to-wear), 또는 유행의 선도와 수용에 따라 하이 패션(high fashion)과 매스 패션(mass fashion)으로 분류된다. 맞춤복은 고객의 주문에 따라 생산되며 고객과 디자이너와의 일대일 관계로 성립된다. 표준 치수를 정하여 대량생산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복식으로 격식을 나타내는 정도에 따라 포멀 웨어(formal wear)와 캐주얼 웨어(casual wear)로 구분하.. 2023. 5. 2.
패션디자인개념 - 패션 관련 용어편 패션 관련 용어편 (1) 스타일(Style) 스타일이란 복식의 양식, 형태, 유행형, 용모, 기품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데, 형태적으로 다른 것과 구별되어 일정 기간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독특하고 특징적인 형태를 말한다. 역사적으로 시대마다 그 시대를 대표하는 각기 다른 스타일이 있는데, 고딕 스타일, 엠파이어 스타일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2) 실루엣(silhouette) 실루엣이란 착용 상태에서 나타나는 의복의 외곽선을 말하며, 내부의 구성선이나 장식적인 요소들을 무시한 외형으로 아웃라인으로도 불린다. 스트레이트 실루엣(straight silhouette), 아워글라스 실루엣(hourglass silhouette), 배럴 실루엣(barrel silhouette)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3) 룩(.. 2023. 5. 2.
패션디자인개념 - 패션의 개념 및 패션 전파 이론편 패션의 개념 및 패션 전파 이론편 ▶ 패션의 개념 패션은 '유행', '풍조', '양식'이란 의미와 관련된 용어로, 어느 일정한 시기에 상당수의 사람들이 선호하여 받아들여진 사회 현상이나 생활양식이며, 그것이 널리 퍼지는 과정을 말하기도 한다. 패션을 사람들이 서로를 따라하는 현상을 일컫는 동조 현상의 하나로 보았을 때 의복뿐 아니라 주거 형태, 음식 스타일, 나아가 어법이나 사회 문화에 이르기까지 모든 생활 분야에서 나타나는 것이나, 좁은 의미로는 주로 의복이나 의료 상품의 유행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며, 일반적으로 복식 유행이라는 말로 이해되고 있다. 이는 패션이 '일시적으로 많은 대중이 선택하는 스타일'로 정의된 것처럼 그 밖의 다른 분야들 중에서 의복이 유행의 속성이 가장 잘 나타나는 대상이기 때문이.. 2023. 4. 24.
패션 디자인의 개념 - 복식의 기능 및 유형편 복식의 기능 및 유형편 ▶ 복식의 기능 복식의 기능은 인류의 복식 착용 동기들로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다. 복식의 기능은 도구적 기능과 표현적 기능으로 나눌 수 있는데, 도구적 기능은 주로 보호의 목적과 실용적인 목적을 의미하여, 표현적 기능은 착용자의 감정적 욕구와 심리적 욕구를 표현하는 기능이다. (1) 도구적 기능 복식의 도구적 기능이란 의복이 어떤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될 때 갖는 기능을 말하며, 신체 적응을 돕기 위한 물리적 기능과 사회 적응을 돕기 위한 물리적 기능과 사회 적응을 돕기 위한 사회적 기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물리적 기능은 착용자의 신체를 보호하고 체온 유지나 활동에 필요한 여유분을 두는 것 등 의복에 따라 요구되는 신체 활동의 효율성과 신체적 쾌적감을 증진시키는.. 2023. 4.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