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별빛 스터디

패션디자인개념 - 패션의 개념 및 패션 전파 이론편

by 벼푸 2023. 4. 24.
반응형

 

패션의 개념 및 패션 전파 이론편

 

 

 

 패션의 개념

 

패션은 '유행', '풍조', '양식'이란 의미와 관련된 용어로, 어느 일정한 시기에 상당수의 사람들이 선호하여 받아들여진 사회 현상이나 생활양식이며, 그것이 널리 퍼지는 과정을 말하기도 한다.

패션을 사람들이 서로를 따라하는 현상을 일컫는 동조 현상의 하나로 보았을 때 의복뿐 아니라 주거 형태, 음식 스타일, 나아가 어법이나 사회 문화에 이르기까지 모든 생활 분야에서 나타나는 것이나, 좁은 의미로는 주로 의복이나 의료 상품의 유행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며, 일반적으로 복식 유행이라는 말로 이해되고 있다. 이는 패션이 '일시적으로 많은 대중이 선택하는 스타일'로 정의된 것처럼 그 밖의 다른 분야들 중에서 의복이 유행의 속성이 가장 잘 나타나는 대상이기 때문이다.

의생활과 관련하여 패션은 복식, 의복, 의류, 복장 등의 용어와 혼용된다. 복식이나 의복, 의류가 의생활에만 한정된 개념이라면, 패션은 훨씬 방대한 개념이다.

복식은 인간이 몸에 걸치는 의류와 장신구의 총칭으로 인체 위에 표현되는 모든 것을 총괄하여 일컫는 용어이다. 한자로 복(服)은 몸통과 다리를 감싸는 옷을 말하며, 식(飾)은 머리에 쓰는 모자나 관, 발에 신는 신, 허리에 두르는 띠 등 여러 가지 장식을 의미한다. 의복이나 의류 또한 남성복, 여성복 및 아동복 등 몸에 걸치는 여러 가지 옷의 총칭이며, 복장 또한 옷과 액세서리를 포함한 의상을 일컫는 것으로 의복을 입는 법이나 옷차림까지도 의미한다.

복식으로서의 패션은 다른 시각 예술과 마찬가지로 한 시대의 사상과 가치관, 기술혁신, 정치, 경제 등을 반영하는 하나의 생활 방식이자 문화이다. 패션은 착용자의 성격이나 직업, 가치관 등을 드러내며, 이들의 집단행동인 패션을 통해 그 시대의 문화 흐름이나 사회 현상을 어느 정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좁은 의미의 패션은 복식을 의미하며 이 범주 안에는 우리가 착용하는 의복 외에 장신구, 메이크업, 향수 등 신체에 착용되고 장식되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패션을 유행의 의미로 볼 때 유행하는 기간에 따라 패드(fad)와 클래식(classic)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패션 전파 이론

 

패션의 전파 이론이란 패션이 만들어지기까지, 즉 하나의 새로운 스타일이 소개되고 그것이 다수의 사람들에 의해 동조되고 채택되는 과정에서, 누가 새로운 스타일을 만들어 내고 누가 그 스타일에 동조하는지 밝힘으로써 새로운 패션이 확산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대표적으로 하향 전파론, 수평 전파론, 상향 전파론, 집합 선택 이론이 있다.

 

 

(1) 하향 전파론

하향 전파 이론은 가장 고전적인 패션 전파 이론으로 1904년에 사회학자인 짐멜(George Simmel)에 의해서 확산되며, 최하위 사회 계층으로 하향 전파될 때까지 점진적으로 모방된다는 주장이다.

짐멜은 인간의 차별화와 모방(differentiation and imitation)의 욕구로 인해 유행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즉, 상류층의 스타일은 자신들을 낮은 계층과 구분해 주는데, 낮은 계층은 상류층 스타일의 모방을 통해서 상류층과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므로 상류 계층은 자신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모호해진 스타일을 버리고 차별화되는 다른 새로운 스타일을 채택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상류 계층이 패션을 만들고 하위 계층이 상류 계층을 모방하게 되므로 패션이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전파된다는 이론이다. 다시 말해서 패션의 동기를 상하 그룹 간의 수직 방향에 의하여 설명하는 입장이다.

하향 전파론은 계급 구조 사회의 패션 전파 이론으로 비교적 적합한 이론이었으나 이미 과거의 귀족 계급 사회가 무너진 현대의 패션 이론을 설명하기에는 문제점이 있다. 베블렌은 여가 계층이 부를 과시하는 방법의 하나로 의복을 예로 들고 사회적, 경제적 지위가 높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지위와 부를 구별하기 위한 상징으로 눈에 가장 잘 드러나는 의복으로 소비를 한다고 하였으며, 베블렌의 이론은 하향 전파 이론을 뒷받침하고 있다.

 

 

(2) 수평 전파론

수평 전파론은 패션 추종 대상이 다른 계층에 있는 것이 아니라 비슷한 사회 계층의 집단들 사이에서 모방, 추종되어 유행이 수평적으로 이동, 확산된다는 이론이다. 즉, 패션 선도자와 추종자가 같은 사회 계층 내에 존재하며, 사회 계층이라는 개념이 모방과 차별의 기준이 되지 못한다는 이론이다.

수평 전파론의 배경에는 대량 생산, 대중 매체의 발달, 부(富)의 대중화 등이 있다. 20세기 이후 대량 생산과 대중 매체의 발달로 다양한 가격별로 생산이 가능해졌고, 이는 다양한 경제 수준의 사람들이 비슷한 패션을 동시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영화배우, TV 탤런트, 인기 가수 등 대중 매체 속의 스타들을 모방함으로써 패션의 확산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대량 생산에 의한 신속한 모방 가능성, 계층과 관계없는 패션 신도자의 등장 등으로 대중들은 더이상 상류 계층을 모방할 필요가 없게 된 것이다. 이는 사회, 경제적 지위만이 아니라 연령, 교육, 라이프스타일 등으로 동일 계층 내 집단마다의 유행이 따로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3) 상향 전파론

상향 전파론은 소수 집단이나 청소년 하위 문화 집단의 패션이 상위 계층을 비롯한 사회 전반에 전파된다는 이론이다. 여기에서의 하위 문화 집단은 소수 민족(흑인, 인디언 등), 청소년, 노동자, 동성애자, 히피 등 상대적으로 소외된 집단을 말하며, 이들은 다른 사회 계층보다 남의 눈을 의식하지 않고 자유로이 살아가며 독창적인 스타일을 만들어내는 경우가 많다. 그들의 옷과 입는 방식, 액세서리, 착용 방법들은 종종 유행이 되곤 한다.

상향 전파의 대표적인 예로는 미국 인디언들의 수공예품, 노동자 집단의 청바지, 힙합과 히피 스타일, 미니스커트의 유행 등을 들 수 있다.

 

 

(4) 집합 선택 이론

집합 선택 이론은 패션에 대한 사회 환경의 영향을 강조한 이론으로, 사회 구성원들의 취향이 비슷해지면서 패션이 유사한 취향을 가진 대중의 지밥적 선택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이다. 즉, 어떤 스타일이 유행될 수 있는 것은 다양한 새로운 스타일들 중 대중의 취향을 가장 잘 반영하여 채택되었기 때문이며, 다시 말해 그 스타일이 대중의 취향과 잘 맞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대중 매체의 발달로 소비자들은 비슷한 사회 환경의 영향을 받게 되고 사고나 행동 유형이 비슷해질 뿐 아니라 유사한 취향을 가지게 되어 집합적인 선택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

4가지 전파 이론을 살펴보았으나 현대 사회는 다양하고 복잡하며 패션 전파 이론 또란 한 가지 이론만으로 설명하기 어렵고 복합적으로 나타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반응형